아낌없이 알려주는 이나무 입니다. 회계, 세무, 투자의 열매를 맺어봅시다.

  • 2025. 4. 4.

    by. 이나무쌤

    목차

       

      📈1. 주가지수

       

      지수 종가 전일 대비 등락률
      코스피 2,504.84 ▼7.68 -0.31%
      코스닥 855.12 ▲0.43 +0.05%
      원·달러 환율 1,434.10원 ▼32.9원 -2.24%

       

       

      ✅ 변동성 확대 속 혼조 마감…반도체 부진, 2차전지·엔터 선방

      4월 4일 국내 증시는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와 미중 무역 갈등 재부각이 맞물리며 전반적인 변동성이 확대된 하루였습니다.

      • 코스피는 외국인의 대규모 순매도(약 1.8조 원)가 이어지며 하락 마감했습니다.
      • 특히 반도체 업종이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반도체 관세 부과 언급에 크게 흔들렸는데요,
        • 삼성전자 -2%
        • SK하이닉스 -6%
      • 반면 코스닥 지수는 소폭 상승했습니다. 이는 시총 상위에 포진한 2차전지 및 엔터 관련주의 강세 덕분입니다.

       

       

      ✅ 환율 급락…정치 이벤트 종료에 원화 강세

      • 15시 30분 기준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32.9원 하락한 1,434.1원을 기록하며 급락했습니다.
      • 이는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결정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 더불어 미국 경기 둔화 우려에 따른 달러 약세까지 겹치며 원화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 총평

      오늘 증시는 정치 이벤트 종료에 따른 안정심리와 글로벌 리스크 요인이 동시에 작용하며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특히 미국의 반도체 관세 가능성은 반도체 업종의 큰 리스크로 부각되며, 당분간 관련 뉴스 흐름에 따라 큰 변동성이 예상됩니다.

      다만, 정치 테마주, 2차전지, 엔터 등 일부 업종은 시장에서 상대적 강세를 보이며 수급이 몰리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 2. 주요 이슈

       

      (1) 파면에 힘받은 원화…환율 1430원대 진입

      • 4월 4일 오후 15시 30분 기준,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32.9원 하락한 1434.1원 기록
      • 2월 26일 이후 약 한 달만에 1430원대 진입
      • 오전 한때 1450.5원까지 올랐으나, 헌법재판소 파면 낭독 이후 급락
      • 정치 불확실성 해소가 원화 강세로 이어졌으며,
      • 미국 경기침체 우려로 달러 약세도 하락 원인 중 하나

      🔗 관련 기사 보기 - 한국경제

       

       

       

      (2) 과거 탄핵 이후 증시 상승 사례 재조명

      •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후, 1년간 코스피 약 20% 상승
      •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후, 1년간 코스피 약 17% 상승
      • 탄핵 이후 수출 증가환율 안정세도 동반
      • 과거 두 사례 모두, 탄핵 리스크 해소 후 투자심리 회복
      • 올해 1분기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1%, 환율은 여전히 1450원대 유지 중
      • 증권가에서는 “정치 혼란 해소 시 경기 방어 위한 추경 25~50조 필요”라는 분석도 등장

      🔗 관련 기사 보기 - 이데일리

       

       

       

      (3) 파면 선고 직후, 코스피 50p 출렁

      • 헌법재판소 파면 선고 직전 코스피는 2486.08pt
      • 낭독 도중 급등해 2506.30pt까지 상승, 무려 50pt 넘게 출렁
      • 그러나 파면 효력 발생 이후 재차 하락세 전환
      • 정치 리스크 해소에 대한 기대와 불확실성 혼재

      🔗 관련 기사 보기 - 연합뉴스TV

       

       

       

      (4) 금값도 출렁…국내 금 시세 2%대 하락

      • 오후 1시55분 기준, 국내 금 1g당 14만4200원, 전일 대비 2.57% 하락
      • 탄핵 관련 변동성 외에도 환율, 국제 금값, 국내 수요 등 복합 요인 영향
      • 정치 리스크와 글로벌 경기 전망에 따라 금값 향방 주목

      🔗 관련 기사 보기 - 이데일리

       

       

       

      (5) 탄핵 리스크 종료 이후, 시장 주목 경제지표는?

      • 오늘 밤 미국 고용보고서 발표 예정 → 금리인하 여부에 영향
      • 내일 새벽에는 파월 연준 의장 연설관세·금리 전망 언급 여부 주목
      • 정치 변수에서 다시 글로벌 경제 지표 중심의 장세로 이동 예상

      🔗 관련 기사 보기 - 블룸버그

       

       

       

      (6) K-조선, 3월 세계 선박 수주량 1위

      • 3월 전세계 발주량 150만CGT 중 한국이 82만CGT 수주, 중국은 52만CGT
      • 한국은 고부가가치 대형 선박 중심, 중국은 소형선 중심
      • LNG선 기자재·조선 기자재 관련 종목에 긍정적 영향 가능성

      🔗 관련 기사 보기 - 조선경제신문

       

       

       

      (7) 씨티, 한국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

      • 한국의 2025년 경제성장률 전망을 1% → 0.8%로 하향
      • 미국의 상호관세 여파가 반도체·의약품 수출에 악영향
      • 연간 GDP에 -0.5%까지 영향 가능성
      • 향후 무역협정 재개 및 추경 가능성에 따라 방향성 결정될 듯

      🔗 관련 기사 보기 - 매일경제

       

       

       

      (8) JP모건, 미국 경기침체 확률 60%로 상향

      • 미 고관세 정책과 소비 위축 우려로 침체 가능성 상향 조정
      • 기존 40% → 60%로 경고 수위 상향
      • 골드만삭스도 20% → 35% 상향한 바 있어 시장 긴장감 높아져

      🔗 관련 기사 보기 - CNBC

       

       

       

      (9) 피치, 중국 신용등급 강등…중국 "인정 못 해"

      • 피치, 중국 외화표시 장기채 신용등급 A+ → A로 강등
      • 이유: 공공재정 악화·국가채무 증가
      • 중국 재정부는 “편향적 판단…인정할 수 없다”며 반발
      • 중국 국채·중국 관련 펀드에 영향 우려

      🔗 관련 기사 보기 - 로이터통신

       

       

       

       

      📅 3. 내일의 주요 일정

      다가오는 **4월 5일(금요일)**은 정치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된 가운데, 글로벌 경제지표와 기업 실적 발표가 시장의 방향성을 좌우할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연준의 통화정책 힌트를 얻을 수 있는 연설과, 국내외 대형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1) 파월 연준 의장 연설

      제롬 파월 미국 연준(Fed) 의장이 4월 5일 새벽(한국시간 기준) 주요 경제포럼에서 연설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최근 미국 고용지표가 예상보다 견조한 흐름을 보인 만큼, 금리 동결 또는 추가 인하에 대한 언급 여부에 따라 시장의 방향이 갈릴 수 있습니다.

      📌 시장 영향:
      · 매파적 발언 시 미 증시 하락 + 달러 강세 + 국내 증시 압박
      · 비둘기적 발언 시 기술주 및 성장주에 긍정적

       

       

      (2) 미국 고용보고서 발표

      같은 날 발표되는 **3월 비농업부문 고용지표(NFP)**는 미국 경기의 탄탄함과 연준의 정책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주요 지표입니다.
      고용 증가 폭이 예상보다 클 경우, 연준이 금리 인하에 신중할 수 있어 시장에는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시장 영향:
      · 고용 강세 → 긴축 우려로 주식시장 조정 가능성
      · 고용 부진 → 완화 기대감에 기술주 반등 가능성

       

       

      (3) LG전자 1분기 잠정 실적 발표

      국내 대표 대형 IT기업인 **LG전자(066570)**가 1분기 잠정 실적을 공개합니다.
      2차전지 관련 소재 사업과 가전 부문이 어느 정도 회복세를 보였는지가 관건이며, 최근 스마트홈·AI 가전 트렌드에 따라 실적 가이던스도 주목됩니다.

      📌 시장 영향:
      · 기대 이상 실적 → 가전·전기차 부품 관련주 동반 강세 가능성
      · 부진한 실적 → IT·가전 업종 전반 약세 요인

       

       

      (4) 중국 차이신 서비스업 PMI 발표

      중국의 민간 경제지표인 **차이신 서비스업 PMI(구매관리자지수)**가 발표됩니다.
      최근 중국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이번 PMI 수치가 경기회복 여부를 가늠할 중요한 지표로 꼽히고 있습니다.

      📌 시장 영향:
      · 50 이상(확장 국면) → 중국 소비 회복 기대감으로 아시아 증시 호재
      · 50 미만(위축 국면) → 수출 의존도 높은 국내 제조업종에 부담

       

       

       

       

       

       

      4. 강세 테마 분석 🔍

       

      ✅ 정치·정책 관련 테마주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결정 이후 조기 대선 국면에 돌입하면서 정치 테마주가 일제히 강세를 보였습니다.
      60일 이내 선거가 열릴 예정이며, 저출산·일자리 등 민생 공약 기대감에 해당 관련주가 급등세를 기록했습니다.

       

      종목코드 종목명 금일 종가 금일 등락률 관련 테마
      352480 오픈놀 28,400원 ▲29.91% 일자리, 정책주
      376980 원티드랩 17,150원 ▲20.07% 취업, 정책 수혜
      008600 윌비스 2,065원 ▲16.59% 교육, 정치테마
      407400 꿈비 18,200원 ▲12.35% 유아용품, 저출산
      013990 아가방컴퍼니 5,430원 ▲9.95% 유아정책, 저출산

       

      ✅ 엔터테인먼트 테마주

       

      미국 상호관세 발표로 산업 전반이 위축된 가운데, 관세 무풍지대로 분류되는 엔터주는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중국 리오프닝 기대와 함께 하반기 실적 개선 가능성도 부각되고 있습니다.

       

      종목코드 종목명 금일 종가 금일 등락률 관련 테마
      041510 에스엠 117,500원 ▲6.13% 엔터, 무형서비스
      182360 큐브엔터 25,050원 ▲5.21% K-콘텐츠
      415580 티엔엔터테인먼트 9,830원 ▲4.88% 중국 공연 기대
      376300 디어유 49,000원 ▲4.27% 팬플랫폼
      352820 하이브 239,000원 ▲3.96% 엔터 대형주

       

      ✅ 2차전지 테마주

       

      미국발 반도체·배터리 관세 우려에도 불구하고, 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분석에 따라 2차전지 섹터는 강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유럽 전기차 판매 증가 소식이 기대감을 높였습니다.

       

      종목코드 종목명 금일 종가 금일 등락률 관련 테마
      086520 에코프로 1,126,000원 ▲8.42% 2차전지 소재
      005420 코스모화학 107,000원 ▲7.85% 전해질
      247540 에코프로비엠 347,500원 ▲6.90% 양극재
      066970 엘앤에프 199,800원 ▲5.88% 양극재
      121600 나노신소재 132,000원 ▲4.61% 첨단소재

       

       

       

       

       

      5. 특징주 분석 ✅

       

      종목 상승률 주요 이슈
      한국피아이엠 ▲43.75% 코스닥 신규 상장 첫날, 공모가(11,200원) 상회하며 급등
      사조씨푸드 ▲8.78% 미국, 중국산 김에 54% 고율 관세 부과 → 한국산 대체 기대감
      HDC현대산업개발 ▲4.86% 삼성물산과 용산정비창 프로젝트 조경 분야 협업 소식
      엔씨소프트 ▲4.22% '블레이드&소울2', 중국 앱스토어 1위 기록에 따른 기대감
      와이지엔터테인먼트 ▲3.43% 블랙핑크·베이비몬스터 실적 추정 상향 분석에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