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1. 주가지수 📈
지수 종가 전일 대비 등락률 코스피 2,348.55 ▼ 134.91 ▼ -5.43% 코스닥 741.32 ▼ 41.88 ▼ -5.34% 원·달러 환율 1,467.80원 ▲ 33.70원 ▲ +2.35% 니케이225(일본) 34,301.12 ▼ 2,628.50 ▼ -7.12% 항셍지수(홍콩) 15,903.45 ▼ 2,173.20 ▼ -12.02% 상해종합지수(중국) 2,880.34 ▼ 215.68 ▼ -6.97% 코스피200 변동성지수(VKOSPI) 42.68 ▲ 15.86 ▲ +59.2% 🔍 지수 급락 원인 분석
- 블랙먼데이 급락장 재현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5% 이상 하락, 특히 코스피는 2,300선 초반까지 밀리며 투자 심리가 얼어붙었습니다.
- 외국인 대규모 매도
외국인 투자자는 코스피와 코스닥 양 시장에서 총 2조 3천억 원 규모를 순매도, 수급의 핵심 주체가 빠지며 하락폭을 키웠습니다.
- 시총 상위주 전멸 : 삼성전자(-5%), SK하이닉스(-9%)를 포함해 시총 상위 100개 종목 중 한국전력만 유일하게 상승했습니다.
- 환율 급등 : 원·달러 환율은 33.7원 급등한 1,467.8원을 기록, 이는 외국인 자금 이탈 가속화와 관세 리스크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 아시아 증시도 동반 추락
니케이 -7%, 항셍 -12%, 상해종합 -7% 등 전 아시아 시장이 붕괴하며 글로벌 투자심리에 충격을 안겼습니다.
- 변동성지수 폭등
투자 불안 심리를 반영하는 VKOSPI는 전일 대비 59.2% 급등한 42.68을 기록해, 8개월 만에 최고치에 도달했습니다.
📝 총평
2025년 4월 8일은 사실상 '아시아판 블랙먼데이'로 기록될 수 있는 날입니다. 전 세계적인 관세전쟁 우려, 원화 약세, 외국인 이탈, 그리고 글로벌 증시의 동반 폭락이 맞물리며 투자심리가 급속히 얼어붙었습니다. 당분간은 환율·미국 증시 흐름, 그리고 주요 기업 실적 발표에 따라 단기 반등 혹은 추가 하락의 기로에 설 가능성이 높습니다. 리스크 관리가 최우선인 장세로, 신중한 접근이 요구됩니다.
2. 주요 이슈 📰
(1) 관세전쟁 여파…원화·엔화 환율 급등
- 15시 30분 기준,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33.7원 오른 1,467.8원으로 마감
- 미국과 중국 간 관세전쟁 우려로 원화 가치 급락, 외국인 투자 자금 이탈 가속
- 원·엔 환율 1000원 돌파, 이는 2022년 3월 이후 약 2년 만에 처음
- 외국인 순매도 확대 → 환율 상승과 주가 하락 동시 발생
👉 관련 보도: 中, 희토류 수출 통제…트럼프 54% 관세에 맞불 (조선일보)
(2) 금값 3000달러 하회…위험자산 회피 가속화
- 싱가포르 거래소 기준, 금 현물 전일 대비 0.45% 하락해 온스당 2,981.69달러
- 지난주 고점이었던 3,100달러 대비 급락, 심리적 지지선 붕괴
- 중국 인민은행은 3월 한 달간 약 9만 트로이온스를 매입하며 5개월 연속 금 보유 확대
👉 관련 보도: 중국, 5개월 연속 금 매입…금값은 3000달러 하회 (경향신문)
(3) 에이비엘바이오, GSK에 4.1조 기술수출…상한가 기록
- 영국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과 BBB 셔틀 플랫폼 기술 수출 계약 체결
- 계약금 + 단기 마일스톤은 1,480억 원, 총 계약 규모 4조 1,104억 원
- 향후 임상 단계별 추가 수익 및 치료제 출시 시 로열티 수익도 확보
👉 관련 보도: 에이비엘바이오, GSK와 4.1조 기술수출 체결 (조선비즈)
(4) LG에너지·LG전자, 희비 엇갈린 1분기 실적
- LG에너지솔루션: IRA 세제 혜택 반영으로 영업이익 흑자전환
- 매출 6.2조, 영업익 3,747억원 (전년비 +흑자 전환)
- 세제 혜택 제외 시 약 830억원 영업손실 발생
- LG전자: 1분기 매출 22.7조로 역대 최대 실적, 영업익은 전년비 -5.7%
- 프리미엄 가전·HVAC 부문 실적 호조
👉 관련 보도: LG에너지, 세제 혜택 덕에 깜짝 흑자 (전자신문)
LG전자, 1분기 매출 사상 최대 (한국경제)(5) 한미 통상정책 협의 본격화…산자부 통상교섭본부 방미
- 산업부 안덕근 본부장, 4월 8~9일 미국 무역대표부(USTR)와 회동
- 한국 제품에 부과되는 관세율(25%) 인하를 위해 협상 진행
- 필리핀 정부와도 회담 진행, 핵심 광물·청정에너지 분야 협력 확대
👉 관련 보도: 산자부, 미국 무역대표부와 관세 협상 돌입 (연합뉴스TV)
(6) 테슬라 생산단가 급등 가능성…관세 여파 본격화
- 차량당 제조 비용 약 4000달러(약 585만 원) 증가 가능성
- 모델3 부품의 약 25% 이상이 멕시코·기타국가에서 수입
- 관세 부과로 제조단가 상승 → 소비자 가격 인상 및 수요 위축 우려
- 미국 내 테슬라 중고차 매물 증가 현상도 동반 관찰
👉 관련 보도: Tesla's Costs Soar Amid U.S.-Asia Tariff War (Bloomberg)
(7) 골드만삭스, 美 경기침체 확률 45%로 상향 조정
- 골드만, 미국 경기침체 가능성을 지난달 35%에서 45%로 상향
- 약 일주일 만에 두 차례 상향 조정 → 경기 민감도 높아져
- 이유: 금융 여건 긴축 가속화 + 무역전쟁 심화로 인한 소비·투자 심리 위축
👉 관련 보도: Goldman Raises U.S. Recession Odds to 45% (WSJ)
3. 내일의 주요 일정 📅
(1) 삼성전자 1분기 잠정 실적 발표
· 국내 증시의 방향성을 좌우할 수 있는 대표 대형주의 실적 공개
· 최근 실적 기대감으로 장 전/후 시간 외 거래에서 주가 반등 조짐
· 메모리 반도체 업황 회복 여부, AI 관련 매출 언급 여부에 따라 IT·반도체 전반에 영향
→ 증시에 긍정적이거나 변동성 확대 가능성(2) 국무회의 개최 (조기 대선일 확정 전망)
· 정부가 6월 3일 조기 대선 일정 확정 가능성
· 정례 국무회의에서 대선 일정 확정 시 정책 기대감 및 정치 테마주 변동성 확대 예상
· 특히 일자리, 저출산, 부동산 정책 등 후보별 공약 테마주 주목→ 관련 정책주 및 정치 테마주의 단기 상승 재료
4. 강세 테마 분석 🔍
① 정치 테마주·정책 관련주
- 정부가 조기 대선일을 6월 3일로 확정할 예정
- 국무회의에서 결정 시, 대권주자 행보 본격화 → 관련주 단기 급등세
- 일자리·저출산 정책 관련주도 동반 강세
종목코드 종목명 금일 종가 금일 등락률 관련 테마 072470 에르코스 3,350원 +21.75% 정치 테마주 010770 평화홀딩스 2,910원 +18.42% 정치 테마주 032750 원티드랩 13,700원 +15.10% 취업·일자리 관련주 008770 경남스틸 5,250원 +11.82% 정책 테마주 045510 상지건설 1,490원 +10.75% 정치 테마주 407400 꿈비 8,800원 +9.63% 키즈·유아용품 관련주 ② 희토류 테마주
- 중국 상무부, 희토류 7종에 대한 수출 통제 조치 발표
- 사마륨, 가돌리늄, 테르븀 등 고순도 희토류 중심의 제재
- 희토류 가공 비중이 높은 한국 기업들에 수급 기대감 반영
종목코드 종목명 금일 종가 금일 등락률 관련 테마 285490 노바텍 21,300원 +13.20% 희토류 000910 유니온 8,250원 +10.67% 희토류 047400 유니온머티리얼 4,780원 +9.12% 희토류 081220 티플랙스 3,960원 +8.35% 희토류 5. 특징주 분석 ✅
종목명 등락률 주요 이슈 더즌 +17.17% 보통주 1주당 2주 무상증자 결정 나이벡 +14.33% 미국 제약사와 기술이전 위한 binding term sheet 체결 비스토스 +1.45% 중국 최대 의료기기 박람회 'CMEF 2025' 참가 소식 효성티앤씨 -7.08% 타이어코드 소재 관련, 베트남 공장 관세 영향 불가피 STX그린로지스 -12.02% 트럼프 관세 여파 및 中 조선업 규제에 따른 물동량 감소 우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4-09] 미 국채 금리 급등·상호관세 발효 여파에 코스피 2300선 붕괴! (0) 2025.04.09 [2025-04-08] 니케이 6% 급등에도 코스피는 ‘찔끔’…환율·유증·반도체 이슈 총정리 (0) 2025.04.08 [2025-04-04] 정치 리스크 해소에 증시 변동성 확대…2차전지·엔터株 강세, 반도체는 부진 (0) 2025.04.04 [2025-04-03] 연기금 순매수에 낙폭 축소…52주 신저가 속 코스피 하락 마감 (2) 2025.04.03 📈 2025년 4월 2일 증시 정리: 코스피·코스닥 1%대 하락…시총 상위주 동반 약세 (0)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