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낌없이 알려주는 이나무 입니다. 회계, 세무, 투자의 열매를 맺어봅시다.

  • 2025. 4. 18.

    by. 이나무쌤

    목차

       

       

      원격의료와 비대면 진료는 디지털 기술과 의료의 융합으로 새로운 성장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고령화, 의료비 부담, 글로벌 시장 확대 속에서 원격의료는 투자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죠. 이 글에서는 원격의료의 개념, 부상 배경, 관련 주식, 그리고 시장을 이끄는 주도주를 탐구하며, 투자 기회를 모색합니다.

       

       

      1. 원격의료와 비대면 진료: 디지털 헬스케어의 핵심 🩺

      • 원격의료란?
        원격의료는 환자가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통신망에 연결된 모니터나 의료 장비를 통해 의료 서비스를 받는 기술입니다. 정보통신기술(ICT)과 의료의 융합으로, 진단, 상담, 처방 등을 원거리에서 가능하게 합니다. 예를 들어, 화상 진료나 원격 모니터링이 이에 해당하죠.

       

      • 비대면 진료란?
        비대면 진료는 원격의료의 하위 개념으로, 주로 전화나 화상 통화를 통해 의사와 환자가 직접 대면하지 않고 진료하는 방식입니다. 국내에서는 코로나19 이후 한시적으로 허용되었으며, 고혈압, 당뇨병 같은 만성질환 관리에 많이 활용됩니다. 2020년부터 2024년 7월까지 건강보험 비대면 진료는 1,032만 건에 달했으며, 고혈압이 가장 높은 이용률을 기록했습니다.

       

      • 왜 중요한가?
        원격의료는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없애고, 의료 접근성을 높입니다. 특히 고령화로 거동이 불편한 노인층과 의료비 부담이 큰 환자들에게 필수적입니다. 글로벌 시장도 2020년 255억 달러에서 2025년 556억 달러로, 연평균 16.9% 성장할 전망입니다.

       

      2. 원격의료의 부상: 왜 지금, 언제부터? 🌍

      - 부상 배경: 고령화와 의료비 부담
      고령화는 원격의료 수요를 촉진하는 핵심 요인입니다. OECD 국가 중 한국은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르며, 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됩니다. 거동 불편한 노인층의 의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원격의료는 필수 솔루션으로 부각되고 있죠. 또한, 의료비 부담 증가로 인해 저렴하고 효율적인 비대면 진료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 코로나19: 비대면 진료의 전환점
      국내 원격의료는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본격화되었습니다. 감염 우려로 병원 방문이 어려워지자, 정부는 2020년 2월 비대면 진료를 한시적으로 허용했습니다. 이후 2024년 의대 정원 확대 반발로 의사 집단행동이 벌어지자, 정부는 2024년 2월 19일 비대면 진료를 전면 허용하며 시장 확대를 가속화했습니다.

       

      - 법제화 추진: 제도적 뒷받침
      현재 비대면 진료는 시범사업 형태로 운영 중이며, 초진·재진 허용 범위, 약 배송, 수가 책정 등 논란으로 법제화가 지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보건복지부는 2025년 1월 10일 의료법 개정을 통해 비대면 진료를 제도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원격의료 관련 기업들의 안정적 성장 기반이 될 전망입니다.

       

      - 글로벌 트렌드
      OECD 38개국 중 32개국이 원격의료를 시행 중이며, 80% 이상이 법적 허용 또는 규제 없이 운영합니다. 미국은 2025년 원격의료 시장이 377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이고, 일본과 프랑스는 초진까지 허용하며 규제를 완화했습니다. 한국도 글로벌 흐름에 맞춰 원격의료 확대를 추진 중입니다.

       

      3. 원격의료 테마주: 어떤 기업이 뜨고 있을까?🚀

       

      종목명 1일 등락률 테마 연관성
      스피어 ★ ▲10.58% '닥터콜' 운영, 원격 모니터링 지원 디지털 헬스 플랫폼
      케어랩스 ▲8.07% 굿닥 앱 기반 원격의료·처방전 서비스 제공
      인피니트헬스케어 ▲5.11% 의료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통합 솔루션 제공
      제이엘케이 ▲2.01% AI 기반 헬로헬스 앱 통한 원격진료 솔루션 운영
      아이센스 ▲1.81% 혈당측정기 기반 원격의료 시스템 적용 경험
      소프트센 ★ ★ ▲1.80% 의료정보 빅데이터, 차세대 병원정보시스템 구축
      인바디 ▲1.09% 체성분 분석기 등 전자의료기기 제조
      나노엔텍 ★ ▲0.74% 랩온어칩 기반 현장진단 의료기 제조
      네오펙트 ▲0.55% 원격 재활의료 서비스 운영
      씨어스테크놀로지 ▲0.31% 웨어러블 기반 생체신호 모니터링 기술
      이지케어텍 0.00% 상급병원 EMR 시장 1위, 의료정보시스템 공급
      솔본 ★ ▼0.13% 인피니트헬스케어 지분 보유 지주사
      비트컴퓨터 ★ ▼1.72% 원격건강모니터링 시스템, EMR 솔루션 제공
      뷰웍스 ▼1.85% 의료 영상진단용 X-ray 디텍터 생산
      인성정보 ★ ★ ★ ▼2.62% 재외국민 대상 원격의료 플랫폼 개발
      유비케어 ★ ▼3.66% EMR 솔루션 및 병원 예약·안내 앱 운영

       

       

       

      4. 대장주는 누구? 원격의료 시장의 리더 🏆

      지금은 산정하기 어려운 것 같다.

      오늘 기준으로는 스피어가 차트가 제일 괜찮아보이는데

      과거 차트 상에서는 끼가 가장 많은 종목은 인성정보인 듯 하다.

       

      그렇다면

       

      3Pick으로 한번 정해보겠다.

       

      1) 인성정보 : 일봉차트 상 2,300원에 안착한다면 가지고 있던 끼가 발현될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안착해야한다는 어려운 조건이 있는데, 실제로 지지라인은 월봉상 1,585 정도로 보인다.

       

      2) 스피어 : 추세를 탄 것 같아서 2픽으로 뽑았다. 박스권 안을 횡보 중이지만 저 박스권을 뚫는 강한 양봉이 나온다면 8370원에서 한번 공략해봐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스피어

       

      3. 소프트센 : 400원을 강하게 뚫어주는 양봉이 나온다면 의미가 있지 않을까 싶다.

      소프트센

       

       

       

      근데 생각보다 원격의료가 매력이 없는 테마가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테마로 따졋을때 큰 시세가 이번에 정치테마주로 엮여서 나올 수 있을까?

      한번 고민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