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1. 주가지수
지수 마감 수치 등락률 코스피 2,803.10 ▲ +6.6% 코스닥 882.74 ▲ +5.9% 원/달러 환율 1,456.4원 ▼ -27.7원 미국과 중국 간의 상호 관세 유예 발표가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면서 코스피는 6.6% 급등, 코스닥은 5.9% 상승하며 최근 보기 드문 랠리를 보였습니다.
외국인과 기관이 현물 시장에서 약 1.3조 원을 순매수하며 급등세를 견인했습니다. 특히 삼성전자(+6%), SK하이닉스(+11%), LG에너지솔루션(+11%) 등 시가총액 상위 종목 대부분이 강세를 기록했습니다.
아시아 증시도 동반 상승하는 흐름을 보였으며, 일본 니케이 지수는 9% 상승하며 폭등세를 연출했습니다. 원/달러 환율도 27.7원 급락하며 1,450원대에 진입, 원화 강세는 외국인 유입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 총평:
글로벌 관세 이슈 완화 기대감에 따른 ‘안도랠리’가 펼쳐졌지만, 미중 갈등의 근본적인 해결이 아닌 만큼 단기 급등 이후 조정 가능성에도 유의해야 하는 구간입니다.📰 2. 주요 이슈
(1) 중국, 미국에 84% 보복관세 발표
- 미국산 수입품에 평균 84%의 추가 관세 부과
- 미국 기업 18곳에 대해 제재 단행
- 중국 문화여유부, 자국민에게 미국 여행 자제령 발동
- 블룸버그 "무역분쟁, 단기 해소 어려울 것" 전망
(2) EU, 미국에 25% 보복관세 예정
- 15일부터 미국산 제품에 25% 관세 부과 예정
-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는 기존 관세 유지
- 협상 타결 시 관세 철회 가능성 언급
- 대상 품목: 옥수수, 쌀, 냉동야채, 과일 주스, 담배 등
(3) 연기금 CIO들 “추세 전환 아냐”
- "급락 이후의 반등일 뿐, 상승 추세는 아직"
- "미국 증시는 연말까지 상승 가능성 있으나 한국은 제한적"
- "환율도 1,460원 이상 유지될 가능성 높아"
(4) 트럼프, 조선업 재건 행정명령 서명
- 조선업을 국가 전략 산업으로 지정
- 한국과 일본을 미국의 전략적 동맹으로 언급
- LNG선, 기자재, 밸브 등 관련 업종 기대감 상승
(5) 트럼프, 해외 무기 수출 완화 행정명령 서명
- 미국 방산업체의 수출 확대를 위한 행정명령 발표
- 록히드 마틴, RTX, 보잉 등 수혜 전망
- 동맹국 및 파트너 국가에 대해 단가 인하 정책도 포함
(6) 트럼프, 엔비디아 칩 중국 수출금지 계획 철회
- 젠슨 황 엔비디아 CEO, 대통령 만찬 참석 후 정책 변화 이끌어
- 미국 내 AI 데이터센터 투자 약속한 것으로 알려져
- 수출금지 예정이던 H20 칩은 딥러닝 핵심 반도체로 평가됨
(7) 알래스카 주지사 방한…LNG 사업 협력 강화
- 4월 18일 열리는 에너지 포럼에 알래스카 주지사 참석 예정
- 산업부 장관과의 두 번째 면담 예정
- 한미 간 LNG 사업 협력이 관세 이슈와도 연결되어 주목
(8) K-휴머노이드 연합 출범…1조 원 규모 투자
- 총 40여개 기업 및 기관 참여, 정부 지원 아래 공식 출범
- 로봇 하드웨어, 부품, AI 기술을 중심으로 산업 생태계 구축
- 2030년까지 1조 원 투자 계획…글로벌 시장 선점 목표
(9) 가계 여윳돈 215조…역대 최대치
- 한국은행 발표, 2024년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금운용액 215조 원
- 금융기관 예치 감소, 대신 주식·펀드·보험 투자 증가
- 소비 위축과 해외 투자 확대가 주요 배경
(10) LG엔솔·삼성SDI, 차세대 배터리 개발 가속화
- LG에너지솔루션, 전고체 배터리 2030년 이전 상용화 목표
- 바이폴라·리튬메탈·리튬황 배터리 등 미래 기술 개발 중
- 삼성SDI, 셀투팩 기술 기반 각형 배터리 개발 본격화
📅 3. 내일의 주요 일정
(1) 미국 3월 생산자물가지수(PPI) 발표
- 일정 : 2025년 4월 11일(현지시간)
- 내용 : 미국 노동부가 3월 생산자물가지수(PPI)를 발표할 예정
- 시장 영향 :
- 물가 지표 중 하나로, 향후 연준의 금리 인하 여부를 판단하는 핵심 데이터
- 예상보다 높은 수치가 나올 경우 금리 인하 지연 우려 → 증시 부정적
- 예상보다 낮은 수치면 통화완화 기대감 확대 → 증시 긍정적
- 특히 기술주 및 성장주, 반도체주 중심으로 민감한 반응 예상
🔍 4. 강세 테마 분석
① 탄소배출권
종목명 종목코드 금일 종가 등락률 관련 테마 그린케미칼 060930 14,300원 +13.49% 탄소배출권 에코바이오 038870 10,150원 +9.78% 탄소배출권 에코아이 038110 7,210원 +8.62% 탄소배출권 후성 093370 42,400원 +6.71% 탄소배출권 에코프로에이치엔 383310 28,950원 +5.43% 탄소배출권 ② 벤처캐피탈(VC)
종목명 종목코드 금일 종가 등락률 관련 테마 나우IB 030190 3,800원 +15.23% 벤처캐피탈 대성창투 027830 5,260원 +13.58% 벤처캐피탈 TS인베스트먼트 155660 4,115원 +11.36% 벤처캐피탈 캡스톤파트너스 190650 2,580원 +10.47% 벤처캐피탈 린드먼아시아 171090 3,910원 +7.98% 벤처캐피탈 ③ 전력 인프라
종목명 종목코드 금일 종가 등락률 관련 테마 세명전기 017510 7,390원 +14.37% 전력 인프라 제룡산업 033100 5,650원 +11.56% 전력 인프라 HD현대일렉트릭 267260 68,400원 +9.82% 전력 인프라 대원전선 006340 2,540원 +8.90% 전선/케이블 효성중공업 298020 79,200원 +7.42% 전력설비 ④ 반도체
종목명 종목코드 금일 종가 등락률 관련 테마 씨앗(MIRA반도체) 254120 15,200원 +18.91% 반도체 SK하이닉스 000660 202,000원 +11.00% 메모리 반도체, HBM 디아이 103520 9,820원 +9.68% 반도체 장비 한미반도체 042700 39,700원 +8.92% 반도체 패키징 와이씨켐 073010 4,910원 +6.41% 반도체 소재 ✅ 5. 특징주 분석
종목명 종목코드 상승률 주요 이슈 시지트로닉스 317830 +29.82% 국내 최초 MOS 제어 사이리스터(MCT) 양산 성공 발표 디아이씨 092200 +17.19% 보스턴다이내믹스 '아틀라스'에 핵심 부품 공급 가능성 부각 SK아이이테크놀로지 361610 +15.21% 북미 신규 프로젝트에 분리막 원단 공급 시작, 전기차 확대 기대 파인엠텍 131760 +9.69% 전자부품 R&D 사업에 선정, 72억 규모 연구개발 착수 비츠로셀 082920 +9.15% 캐나다 가스 시추업체 인수 추진 보도, "논의 중" 공식 언급 한성크린텍 115960 +4.91% 최대주주 주식 매수 이어 자사주 추가 매수 계획 공시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4-15] "에이비엘바이오 87% 폭등"…4조 기술수출 빅딜에 증시도 들썩! (0) 2025.04.15 [2025-04-14] "이 주식, 8일 만에 712% 폭등?"…상지건설 미쳤다! 환율·트럼프 이슈 총정리 (0) 2025.04.14 [2025-04-09] 미 국채 금리 급등·상호관세 발효 여파에 코스피 2300선 붕괴! (0) 2025.04.09 [2025-04-08] 니케이 6% 급등에도 코스피는 ‘찔끔’…환율·유증·반도체 이슈 총정리 (0) 2025.04.08 [2025-04-07] 블랙먼데이 강타한 아시아증시…코스피·코스닥 5% 폭락, 원화·금값 급변동 (0) 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