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낌없이 알려주는 이나무 입니다. 회계, 세무, 투자의 열매를 맺어봅시다.

  • 2025. 3. 6.

    by. 이나무쌤

    목차

      [직원 급여 지급 시 세금 공제 계산법 총정리]

      급여 지급 시 얼마나 세금이 공제될까? 실수령액은 어떻게 계산할까?
      직장인이라면 한 달 동안 열심히 일한 대가로 받는 급여에서 예상보다 적은 금액이 입금되는 걸 경험했을 것입니다. 이는 근로소득세와 4대 보험료 등 각종 공제가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급여 지급 시 차감되는 주요 항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1. 세금: 근로소득세, 지방소득세
      2. 4대 보험: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이제 근로소득세 계산법, 4대 보험 공제율 및 실수령액 계산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직원 급여 지급 시 세금 공제 계산법

       

      1. 급여 지급 시 공제되는 세금 종류

      직원 급여에서 공제되는 세금은 크게 근로소득세와 지방소득세로 나뉩니다.

      1-1. 근로소득세란?

      근로소득세는 근로소득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소득이 많을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되는 누진세율 구조를 가집니다.

      📊 2025년 근로소득세율 표

      과세표준(연소득) 세율 누진공제
      1,400만 원 이하 6% -
      1,400만 원 초과 ~ 5,000만 원 이하 15% 126만 원
      5,000만 원 초과 ~ 8,800만 원 이하 24% 576만 원
      8,800만 원 초과 ~ 1억 5천만 원 이하 35% 1,548만 원
      1억 5천만 원 초과 ~ 3억 원 이하 38% 2,460만 원
      3억 원 초과 ~ 5억 원 이하 40% 3,960만 원
      5억 원 초과 ~ 10억 원 이하 42% 6,160만 원
      10억 원 초과 45% 9,160만 원

      📌 근로소득세 계산법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액 = 근로소득세

      예제: 연봉 6,000만 원(월 500만 원) 직원의 근로소득세

       
      (6,000만 원 × 24%) - 576만 원 = 864만 원 (연간)

      👉 월 단위로 나누면 약 72만 원이 공제됩니다.


      1-2. 지방소득세 공제 기준

      지방소득세는 **근로소득세의 10%**가 부과됩니다.

       

      📌 계산법

      근로소득세 × 10% = 지방소득세

       

      예제: 근로소득세가 72만 원일 경우

      72만 원 × 10% = 7.2만 원

      2. 4대 보험 공제율과 계산법

      4대 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으로 구성됩니다.

      2-1. 국민연금 공제율 및 부담 비율

      📌 2025년 국민연금 요율

      • 전체 보험료율: 9.5%
      • 근로자 부담: 4.75%
      • 사업주 부담: 4.75%

      예제 (월 급여 500만 원 기준)

      500만 원 × 4.75% = 23.75만 원

      2-2. 건강보험 및 장기요양보험 계산법

      📌 2025년 건강보험 및 장기요양보험 요율

       

      항목 보험료율 근로자 부담
      건강보험 7.8% 3.9%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12.95% 0.506%

      예제 (월 급여 500만 원 기준)

      건강보험: 500만 원 × 3.9% = 19.5만 원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19.5만 원) × 12.95% = 2.53만 원

      2-3. 고용보험료 공제 기준

      📌 2025년 고용보험 요율

      • 근로자 부담: 0.9%
      • 사업주 부담: 0.9%

      예제 (월 급여 500만 원 기준)

      500만 원 × 0.9% = 4.5만 원

      📌 3. 실수령액 계산법

      3-1. 세금 및 4대 보험 공제 후 월급 계산 예제

      월급 500만 원 직원의 실수령액 계산

      항목 급여
      총 급여(월) 5,000,000원
      근로소득세 72만 원
      지방소득세 7.2만 원
      국민연금 (4.75%) 23.75만 원
      건강보험 (3.9%) 19.5만 원
      장기요양보험 (0.506%) 2.53만 원
      고용보험 (0.9%) 4.5만 원
      총 공제액 129.48만 원
      실수령액 3,705,200원

      3-2. 급여 실수령액을 높이는 방법

      비과세 항목 활용 (식대, 차량 유지비 등)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 및 소득공제 적극 활용
      퇴직연금 가입으로 소득세 절세 효과 기대


      📌 4. 급여 지급 시 유의해야 할 사항

      4-1. 세금 신고 및 납부 기한

      근로소득세 및 4대 보험료는 매월 원천징수 후 사업주가 국세청과 건강보험공단 등에 납부해야 합니다.

       

      📌 납부 기한

      •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익월 10일까지 원천징수 신고
      • 4대 보험료: 익월 10일까지 신고 및 납부

      4-2. 연말정산을 통한 환급 가능 여부

      연말정산을 통해 일부 세금이 환급될 수 있습니다.

       

      주요 환급 요인
      교육비·의료비·기부금 공제
      연금저축·퇴직연금 가입 시 세액공제
      주택자금 공제(전세자금 대출 이자, 월세 공제 등)


      📌 마무리 – 정확한 실수령액 계산으로 급여 관리하기

      2025년 기준 소득세 및 4대 보험 공제율을 적용하여 정확한 실수령액을 계산하면 급여 협상 시에도 유리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급여 지급 전 예상 공제 금액을 미리 확인하고 재정 계획을 세우세요! 😊